본문 바로가기

뇌종양/신경교종

교모세포종 예후 인자 IDH, KPS 등

교모세포종에서 좋은 예후를 보이는 변수

 교모세포종 장기 생존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도출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특성들이다. 
 
∙  젊은 나이
∙  종양 내 IDH 돌연변이가 있음
∙  높은 카르노프스키 수행 점수
∙  절제 범위가 넓고 완전 절제 여력이 클 때
∙  종양 괴사가 적을 때
∙  수술전 MRI에서 종양 조영제 대조강화가 적을 때
∙  수술 전후의 종양 크기가 작을 수록
∙  종양의 위치가 좋을 때
 

∙ IDH 돌연변이(mutation)

교모세포종 환자의 약 10%에서 IDH 변이가 있다고 한다. 
IDH 변이가 있는 교모세포종 환자의 경우 좀 더 양호한 임상 경과를 보인다.
변이가 없는 환자와 비교해 변이가 있는 경우 평균 생존기간이 2.4배 정도 길다.
 
유전자 검사를 보면 진단명이 나온다.
          Integrated diagnosis: glioblastoma, IDH-wildtype
          통합진단 : 교모세포종, IDH-wild type
IDH-wild type 야생형은 변이가 없다는 의미이다.
 

∙ 카르노프시키 수행 점수 Karnofsky Performance Status(KPS)

 환자의 일상생활 및 업무 능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 중 하나이다. 이 척도는 주로 암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고 진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KPS 점수는 0에서 100까지 총 1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00: 전혀 제한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음
90: 증상이나 제한이 거의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음
80: 일상생활 수행은 가능하지만, 일부 제한이 있음
70: 제한이 있는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음
60: 중등도의 증상이 있지만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음
50: 중등도의 증상이 있어서 어느 정도의 도움이 필요함
40: 일상생활 대부분을 수행할 수 없고,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나 의자에서 보냄
30: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나 의자에서 보내고, 일상생활 수행이 거의 불가능함
20: 대부분의 시간을 침상에서 보내며, 많은 도움이 필요함
10: 의식이 있으나 대부분의 시간을 눕거나 의식이 불명확한 상태
0: 사망
 
 KPS는 환자의 일상생활 능력을 반영하기 때문에, 낮은 KPS 점수는 암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다양한 연구에서 KPS 점수가 낮은 환자들이 생존 기간이 짧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폐암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 KPS 점수가 70점 이하인 환자들의 1년 생존율이 30% 이하였고, 80점 이상인 환자들은 60% 이상의 1년 생존률을 보였다. 또한 다른 암종에서도 KPS가 생존 기간과 연관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 괴사(Necrosis)

 종양에 괴사(Necrosis)가 있다는 것은 종양 내 일부 세포나 조직이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인해 영양 공급이 제한되거나 종양 내 압력 증가 등으로 인해 산소 및 영양 공급이 부족해져서 세포가 죽어 나가는 상태를 말한다. 종양 내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신경계 조절을 받지 않아 적극적으로 증식하기 때문에, 종양의 성장 속도가 빠를수록 종양 내 혈관의 밀도와 형태가 불규칙해져서 영양 공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일부 세포들이 괴사를 일으키면서 조직 내에서 괴사 조직(즉, 죽은 조직)이 생기게 된다. 종양 내 괴사는 종양의 악성도와 진행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 종양 조영제 대조강화

 종양 조영제 대조강화가 크다는 것은 종양 조직의 혈관 밀도가 높거나 혈관 구조가 불규칙해져서 조영제가 더 많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반면, 대조강화가 적은 경우에는 조영제가 주변 조직과 비슷하게 흐르기 때문이다. 종양 조직의 혈관 밀도가 적거나 혈관 구조가 규칙적이기 때문에 조영제가 주변 조직과 비슷한 정도로 축적된다. 종양 조영제 대조강화는 종양의 악성도나 종양의 크기, 위치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악성도가 높은 종양일수록 대조강화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대조강화: 혈액과 조영제 차이로 인해 이미지의 명암 대비를 높여주어 비정상적인 부위를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는 현상)
 

∙ 종양의 위치

 뇌량팽대, 기저핵, 시상, 중뇌 등에 종양 침윤이 있으면 예후가 나쁘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심리적 상태와 가족의 지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암 환자들이 자신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부정적인 감정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한다. 이는 진료와 치료에 참여하는 전문가들과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면역 기능을 강화하고,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감소시켜 신체적으로도 치료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지지도 암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족, 친구 등의 지지는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 우울증과 불안감을 감소시키며, 치료에 대한 협조와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심리적 지지는 종종 종양 치료에 필요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에 대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긍정적인 생각과 심리적 지지는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삶의 질이 향상되면, 치료 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치료 과정에서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종양 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긍정적인 생각과 심리적 지지는 암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암 환자들은 긍정적인 태도와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