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뇌종양

(8)
뇌하수체선종 증상과 치료 방법 뇌하수체의 기능 뇌하수체는 인체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내분비 기관이다. 뇌하수체는 뇌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인체의 대사, 성장, 생식 등의 생리학적 기능을 조절하고 유지한다. 뇌하수체 전엽 ∙성장호르몬(GH) : 성장과 대사 조절 ∙황체형성호르몬(LH) : 남성의 난소와 여성의 난소에서 성호르몬 분비 자극 ∙난포자극호르몬(FSH) : 남성의 정자생성과 여성의 난자생성 자극 ∙프로락틴(Prolactin) : 주로 유선 발달, 수유 및 생식기관의 기능 조절에 관여합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 부신 피질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은 대사 활동과 스트레스 대처 능력, 면역 기능, 염증 반응 조절 등 다..
뇌수막종 WHO 등급과 치료법 뇌수막 뇌수막(meninges)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세 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막 (dura mater):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가장 두꺼운 막이다. 경막은 강한 섬유성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뇌와 척수를 충격과 부상으로부터 보호한다. ∙ 지주막 (거미막, arachnoid mater): 경막의 내부에 위치하며, 얇은 막이다. 지주막은 작고 구멍이 많은 구조로 뇌척수액이 흐르는 공간인 지주막하공간(subarachnoid space)를 형성한다. ∙ 연막 (pia mater): 뇌와 척수의 표면을 밀착하고 있는 막이다. 연막은 매우 얇은 막으로, 뇌와 척수를 감싸며 혈관을 둘러싸고 있다. 연막은 뇌와 척수의 혈관을 보호하고, 뇌와 척수를 지지한다. 뇌수막종 수막종..
뇌실막세포종(상의세포종) 뇌실막세포종(ependymoma)은 뇌실 또는 척수 중심관 내층의 뇌실막세포에서 발생하는 드문 중추신경계 종양이다. 성인 중추신경계 종양의 약 3~5%, 소아 중추신경계 종양의 약 10%를 차지한다. 가장 흔한 위치는 천막하부이며, 제 4뇌실, 소뇌다리뇌각, 또는 뇌간 등에서 발견된다. 소아 환자에서는 2/3 이상 천막하부에서 발생하고, 천막상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드문 반면, 성인 환자에서는 주로 천막상부에서 발생한다. Grade 1: 뇌실막하세포종(subependymoma), 점액유두뇌실막종(myxopapillary ependymoma) Grade 2: 뇌실막세포종(ependymoma) Grade 2 or 3: 뇌실막세포종(ependymoma, RELA-fusion positive) Grade 3: ..
핍지세포종(희소돌기아교세포종) 핍지세포종(oligodendroglioma)은 뇌내의 핍지세포(oligodendrocyte)에서 기원하는 뇌종양의 하나로, 교모세포종과 역형성 성상세포종에 이어 3번째로 흔한 신경교종이다. 조직학적으로 경계가 비교적 뚜렷하고 상대적으로 성장속도가 느린 핍지세포종(2등급)과 좀 더 악성이고 성장속도가 빠른 역형성 핍지세포종(anaplastic oligodendroglioma, 3등급)으로 분류된다. 핍지세포종(oligodendroglioma,IDH-mutant and 1p/19q co-deleted, 2등급) 핍지세포종은 미만성으로 침윤하며, 천천히 자라는 교종이다. 주로 뇌피질을 많이 침범하므로, 경련발작이 가장 흔한 증상이고 두통이 그다음이다.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종괴 효과에 의한 증상은 상대적으로 ..
역형성 성상세포종(anaplastic astrocytoma) 역형성 성상세포종(anaplastic astrocytoma)은 별 모양 세포인 성상세포(astrocyte)에서 비롯된 뇌종양 중 하나이다. 성상세포는 뇌의 신경세포를 지원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신경교세포이다. 역형성 성상세포종은 신경교종이라는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한 종양 중 하나로 분류된다. 성상세포종은 악성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되는데, 역형성 성상세포종은 3등급으로 4등급인 교모세포종과 함께 고등급 신경교종이라고도 불린다. 역형성 성상세포종은 악성종양으로 분류되며, 생장과 확산 가능성이 낮은 등급의 종양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퍼질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종양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나누어지는 세포가 존재하며, 인근 뇌 조직을 침범하고 새로운 혈관을 형성하여 성장을 유지한다. 치료 일반적으로 ..
교모세포종 표준치료 수술, 방사선, 항암 수술적 절제 고등급 신경교종(교모세포종, 역형성 성상세포종) 수술의 주요 목표는 1) 조직학적 진단(유전자검사)을 통해 향후 치료 계획에 이용 2) 종괴 효과(뇌압 상승과 뇌 조직 압박에 의한 신경학적 증상)를 줄이는 것 3) 종양 세포의 수를 줄이는 것 고등급 신경교종 수술에서 절제 범위와 생존 기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어왔다. Lacroix 등(2001)의 연구: 이 연구에서는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고등급 신경교종 수술을 수행하였고, 이 중 98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중 34명은 전적인 절제술을 받았으며, 나머지 64명은 부분적인 절제술을 받았다. 전적인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의 평균 생존 기간은 36.4개월이며, 부분적인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
교모세포종 예후 인자 IDH, KPS 등 교모세포종에서 좋은 예후를 보이는 변수 교모세포종 장기 생존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도출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특성들이다. ∙ 젊은 나이 ∙ 종양 내 IDH 돌연변이가 있음 ∙ 높은 카르노프스키 수행 점수 ∙ 절제 범위가 넓고 완전 절제 여력이 클 때 ∙ 종양 괴사가 적을 때 ∙ 수술전 MRI에서 종양 조영제 대조강화가 적을 때 ∙ 수술 전후의 종양 크기가 작을 수록 ∙ 종양의 위치가 좋을 때 ∙ IDH 돌연변이(mutation) 교모세포종 환자의 약 10%에서 IDH 변이가 있다고 한다. IDH 변이가 있는 교모세포종 환자의 경우 좀 더 양호한 임상 경과를 보인다. 변이가 없는 환자와 비교해 변이가 있는 경우 평균 생존기간이 2.4배 정도 길다. 유전자 검사를 보면 진단명이 나온다. Integrate..
뇌종양 종류(분류) 신경교종, 뇌수막종, 뇌하수체선종, 청신경초종 2022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20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47,952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뇌종양은 남녀를 합쳐서 1,795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7%를 차지했다. 뇌종양 발생 비율에따른 분류 신경교종 - 원발성 뇌종양의 약 50%,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하며, 반 이상이 악성이다. 뇌수막종 - 원발성 뇌종양의 약 20%, 뇌수막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 수술만으로 완치될 가능성이 높다. 뇌하수체선종 - 원발성 뇌종양의 약 15%,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양성종양. 청신경초종 - 원발성 뇌종양의 약 8%, 귀 안쪽 전정 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슈반 세포에서 기원한 양성종양. * 원발성 암- 해당 장기에서 처음 발생된 암 전이성 암- 다른 부위에서 퍼져 생긴 암 * 양성종양- 천..